본문 바로가기
미술 리뷰

독립 선언 - 존 트럼불

by caley 2023. 6. 29.

독립 선언 - 존 트럼불

독립 선언

존 트럼불(John Trumbull)의 "독립 선언" (Declaration of Independence)은 1817년부터 1826년까지 그린 미국의 역사적인 대형 유화입니다. 이 작품은 혁명적인 사건인 미국 독립 선언문의 서명 장면을 재현하고 있으며, 미국의 독립과 자유에 대한 상징적인 작품으로 꼽힙니다.

 

이 작품은 독립 선언문을 작성한 위원회가 1776년 6월 28일에 의회에 초안을 제출하는 순간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작품의 중심에는 독립 선언문 서명자인 토머스 제퍼슨, 존 애덤스, 로저 셔먼, 로버트 리빙스턴, 벤자민 프랭클린이 서 있으며, 의회의 회장인 존 핸콕은 문서를 받아보고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작품의 시대적 배경

미국 독립 전쟁 시기에 그려진 독립 선언은 해당 시대의 중요한 역사적 상황과 관련이 깊습니다. 1775년 4월, 영국군과 식민지 민병대 간에 렉싱턴 콩코드 전투가 발발하여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영국은 식민지에 대한 과세와 지배를 강화하고 있었지만, 식민지 주민들은 이를 자신들의 권리와 자치권을 침해로 간주하고 저항하였습니다.

 

1776년 1월에는 토마스 페인(Thomas Paine)의 저서인 "상식"이 출간되어 독립을 주장하는 사상이 널리 퍼졌습니다. 이는 독립 선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독립 선언문의 초안 작성을 위해 1776년 6월에 개최된 제2차 대륙회의에서 리처드 헨리 리(Richard Henry Lee)가 독립을 제안하였고,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을 비롯한 다섯 명의 위원회가 독립 선언문을 작성하였습니다.

 

1776년 7월 2일, 대륙회의는 독립을 일치로 표결하였고, 7월 4일에는 독립 선언문이 채택되었습니다. 이 선언문은 영국과의 정식 독립을 선언하고, 미국의 독립과 자유를 선언하는 역사적인 문서입니다. 그러나 독립 선언 후에도 영국과의 전쟁은 계속되었으며, 1783년에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미국의 독립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습니다.

 

독립 선언은 이러한 독립 전쟁 시기와 독립 선언 과정을 묘사하는 작품으로서, 미국 역사상의 중요한 순간을 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국의 독립 운동과 혁명적인 이념을 상징하며, 미국인들의 자유와 독립에 대한 열망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감상평

독립 선언은 미국의 독립과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작품으로, 그림의 구성, 색채, 인물의 표정, 자세 등을 통해 당시의 역사적 순간을 생생하게 재현하고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위원회의 다섯 명은 그림의 중심에 위치하며, 서로 협력하고 조화롭게 함께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토머스 제퍼슨은 독립 선언문을 존 핸콕에게 건네주며, 존 애덤스는 격려하는 듯한 자세로 제퍼슨 옆에 서 있습니다. 로저 셔먼은 제퍼슨의 어깨를 잡고 지지하며, 로버트 리빙스턴은 제퍼슨을 소개하는 듯한 표정으로 손을 들고 있습니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의자에 앉아 있지만, 독립 선언문에 집중한 시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독립 선언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많은 노력과 토론을 거쳤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의 배경에는 의회의 대표들이 등장하며, 각자 다른 반응과 태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부 대표들은 독립 선언문에 호응하고 찬성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들은 분명히 독립 선언문의 내용에 동의하며, 이를 지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대표들은 반대하거나 의심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독립 선언문에 대해 조심스럽거나 반감을 표현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들은 실제로 독립 선언문에 서명하지 않았거나, 당시 의회에 참석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들은 독립 선언에 대한 다른 이해관계나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일부 대표들은 무관심하거나 지루해하는 듯한 모습을 보입니다. 이들은 독립 선언에 대한 관심이나 중요성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들은 식민지의 다양한 이해관계와 관련된 지루함을 나타내며, 독립 선언문에 대한 정치적 입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